반응형

컴퓨터의 대표적인 부품은 CPU, Memory, HDD 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모든 처리를 담당
 
Memory: 주 기억 장치
 CPU가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보조기억장치의 값을 가져와 저장하고 CPU는 메모리의 값을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는 것은
 메모리에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값을 저장하고 있다는 것
 휘발성(전원이 없으면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음)
 
HDD(Hard Disk Drive) :  대표적인 보조기억장치
 CPU를 통해 Memory의 값을 저장해 두기 위한 장치
 비휘발성(전원이 없어도 데이터를 유지)

 

예제)
우리가 계산기를 실행하여 1+1을 입력하고 =을 입력하여 계산을 하고 결과를 보는 과정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로그램은 HDD에 저장되어 있음

 

계산기 프로그램 실행

HDD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Memory로 Loading

CPU가 Memory에 로딩된 계산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

계산을 위해 1+2= 을 입력하면

계산기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메모리에 저장(변수에 저장)

CPU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 연산 진행(처리)

연산 결과를 Memory에 저장하고 화면에 출력

메모리에서 프로그램 정보가 사라짐(프로세스 종료)

 

우리가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위와 같은 개념으로 동작된다.
이 시점에 자세한 동작을 생각할 필요는 없고 다음 개념을 이해한다.

 

-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 CPU가 HDD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딩 한다.
- 그리고 CPU는 메모리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실행(처리)한다.
- 프로그램 동작에 필요한 값을 사용자가 입력한다.
- CPU는 입력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프로그램 되어 있는 대로 처리한다.
- 처리된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위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고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면 그냥 코딩만 따라 하는 것 보다 조금은 이해하며 코딩할 수 있지 않을까?
 

 

반응형

'교육자료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자료형(Data Type)  (0) 2017.06.07
Java 변수와 상수  (0) 2017.06.07
Eclipse 자바 통합개발환경 설정하기  (0) 2017.05.31
Java 프로그램 기본 형태 이해  (0) 2017.05.31
Java 개요(자바란?)  (0) 2017.05.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