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들 때 유용한 문법이다.
위와 같은 서식은 출력할 문자열의 형태를 미리 만들어 두고 값이 표현될 부분에 %? 문자를 작성한다.
%?문자는 위의 표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표현할 자료형에 따라 약속된 문자가 있다.
위 표에 있는 문자들을 서식문자(제어문자) 라고하는데 해당 서식 문자가 있는 문자열에 %문자를 붙이고 뒤로 출력할 데이터를 지정해주면 순서대로 매치되어 서식에 데이터가 표현된 문자열이 만들어진다.
이 서식문자열을 이용하는 이유는 콘솔에 출력되는 문자들의 모양을 간단한 방법으로 가지런하게 만들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큰 의미를 두고 공부할 필요는 없다.
서식을 숫자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콘솔에 문자가 출력될 칸을 미리 확보해 놓을 수 있다.
실수 표현 시 소수점을 이용하는 수를 지정하여 전체 자릿수와 소수점으로 사용할 자리를 지정해 놓을 수 있다. round() 함수와 마찬가지로 지정된 자릿수 만큼 자르고 반올림하여 표시한다.
부호를 추가하는 것은 확보한 칸에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정렬하라는 의미이다.
(음수는 왼쪽정렬)
위 예제를 출력하여 칸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 하도록 하자.
반응형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자열 객체 이해하기 (0) | 2018.08.20 |
---|---|
파이썬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18.08.20 |
파이썬 자료형 기초개념 (0) | 2018.08.20 |
파이썬 변수와 상수 및 자료형 개념알기 (0) | 2018.08.09 |
표준 출력 print() 함수 사용하기 (0) | 201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