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기본자료형 변수를 사용할 때와 문자열 자료형 변수를 사용할 때 메모리에 생성된 변수의 모양이 다르다.
기본 자료형의 변수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메모리에 할당된다.
각각 변수 이름이 붙은 공간이 할당되고 해당 공간에 값이 들어가게 된다.
문자열은 위의 모양과 다르다.
변수의 이름과 공간은 동일하게 할당되지만 실제 값인 문자열은 다른 공간에 할당된다.
그리고 할당된 문자열이 저장된 것을 객체라고 표현하며 해당 객체가 있는 곳을 참조할 수 있는 값이 변수에 대입된다. 다음 그림을 보고 이해를 하자.
문자열객체는 'hello'라는 문자열을 갖고 있고 이 객체를 식별하기 위한 값으로 0x100이라는 개념을 가정했다.
0x100이라는 값을 val4변수에 대입하게 되고 이제부터 val4를 사용하면 참조하고 있는 문자열객체가 사용되어 진다.
위 문장을 천천히 그림을 그리면서 이해하도록 하자. 많이 헷갈릴 수도 있으나 위의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형태가 되면 문자열은 하나의 객체라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고 객체는 속성(변수)과 기능(함수)를 가진다고 했으니 다음과 같은 형태를 이해할 수 있겠다.
위 개념을 상상하며 다음 예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보자.
모든 문자열객체는 위와 같은 함수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format함수를 제공한다.
format함수는 중괄호{}로 번호를 지정해 두고(0번 부터) 해당 위치에 들어갈 값을 함수의 인자로 전달한다. 자료형을 신경쓰지 않고 서식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gra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서식(format)문자열 활용 (0) | 2018.08.20 |
---|---|
파이썬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0) | 2018.08.20 |
파이썬 자료형 기초개념 (0) | 2018.08.20 |
파이썬 변수와 상수 및 자료형 개념알기 (0) | 2018.08.09 |
표준 출력 print() 함수 사용하기 (0) | 2018.08.09 |